공지사항
제목 | 과기정통부 「제2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 발표 | ||
---|---|---|---|
담당자 | 보안산업기획팀 박경식 전화 061-820-1208 이메일 | ||
등록일 | 2020-06-30 | 조회수 | 4158 |
첨부파일 |
제2차_정보보호산업_진흥계획(안).pdf
![]() |
||
◇ 정보보호 신규 시장 발굴, 민간 주도의 정보보호 투자 확대 및 정보보호 성장 생태계 조성을 통한 정보보호산업 성장을 목표 - 5년간(’21~’25) 관계부처 합동으로 정보보호시장 10.5조→20조원 달성
□ 제1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16~‘20)을 통해 지난 5년간 정보보호산업은 양적 성장을 달성하였으나, ㅇ 코로나19에 따른 全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비대면 서비스 확산으로 인한 새로운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정보보호산업의 질적 성장과 체질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ㅇ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정부는 새로운 정보보호 수요를 산업 활성화로 연결하기 위한「제2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21~’25년)」을 다음과 같이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하였다.
□ 첫째, 국민생활과 사회 전반에서의 디지털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정보보호 패러다임 변화를 新시장 공략의 기회로 삼는다. ㅇ 비대면 서비스에 클라우드, 생체인식 등 신기술을 적용하는 보안강화 시범사업으로 서비스별 특징을 반영한 보안시장을 육성하고, - 보안이 부족한 영세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보안컨설팅과 클라우드 등 안전한 업무용 서비스로의 전환을 지원한다. ㅇ 보안서비스의 AI 확산을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보유한 정보보호 데이터(6.9억개) 등을 학습데이터로 활용하고, AI 활용 보안제품의정확도 개선과 제품 고도화를 지원한다. ㅇ CCTV 등 다양한 제조사의 물리보안 제품을 연결하여 무인점포, 재난안전 등 물리보안을 활용한 사업모델을 개발하여 확산시키고, * 스마트공장(안산) 자율주행차(군산), 스마트시티(부산), 디지털헬스케어(원주), 실감콘텐츠(판교)
□ 둘째, 민간 주도의 사이버 복원력 확보*를 위해 정보보호 투자를 확대하고 경쟁력 있는 정보보호기업을 육성한다. * 사이버 공격에 의한 시스템이나 서비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애 또는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 상태로 혹은 그에 준하는 상태로 신속하게 돌아가려는 역량 ㅇ 대규모 국가 투자사업, 5G 국가망 등 선도 프로젝트에는 정보보호 투자가 포함되도록 하고, 지역의 정보보호지원센터를 확대(10→17개)하여 기업 정보보호 수준 제고를 위한 자발적인 투자를 유도한다. ㅇ 또한, 정보보호기업 성장을 위해 지원시설ㆍ사업을 집적한 성장기반을 조성하고, 한국형 ‘비대면+보안 패키지 모델’ 등을 개발하여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기업규모를 확대한다.
□ 셋째, 지속성장 가능한 정보보호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ㅇ 안전한 데이터 활용과 AI를 응용한 보호기술 개발, 양자암호 등 차세대 핵심 보안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ㅇ 수요자 관점에서의 편리하고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규제개선과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도 3만명을 목표로 추진한다.
□ 정부는 이번 산업진흥계획 실행을 통해, DㆍNㆍA 기반의 디지털 전환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정보보호산업을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고, ㅇ ICT와 융합되는 주요산업에 대한 보안위협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디지털 사회 실현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이전글 | 제9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 정보보호 컨퍼런스 개최 안내 |
---|---|
다음글 | 제5기 NCS 기반 실무형 정보보호 기술인력(K-Shield Jr.) 양성 과정 교육생 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