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분산형 웹 구조 조사분석 및 대응방안 도출

담당부서
블록체인확산팀
전화
061-820-3935
이메일
등록일
2019-12-27
조회
954

요약
1. 제목
분산형 웹 구조 조사 분석 및 대응 방안 도출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인터넷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인구의 수는 지구 전체 인구수의 절반을 넘어섰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수의 단체가 인터넷 관련 경제 시스템을 독점하는 인터넷 집중화 현상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인터넷 집중화로 인해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 및 제어권을 서비스 제공자가 가지게 됨에 따라 개인 정보 보호 약화, 기업 간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없는 인터넷 환경 조성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분산형 웹이 제안되었다. 국외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분산 웹 관련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분산 웹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아직 초기 단계인 분산형 웹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이를 국내에 잘 적용할 수 있다면 분산 웹 기술에 대한 세계적인 주도권을 갖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우선 분산형 웹 기술의 특징 및 기존 웹과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 분산형 웹 관련 동향을 조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분산형 웹의 국내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요구사항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분산형 웹 도입에 따른 환경 변화 및 국내 도입 모델을 예측하며, 국내 기업 및 개발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국내 수요를 예측을 한다. 최종 단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분산형 웹에서 KISA의 역할 및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 방안에 대하여 제시한다.

4. 연구결과
분산형 웹의 동작 방식과 그 기반이 되는 기술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IPFS, Solid 등의 분산형 웹 관련 글로벌 프로젝트를 조사하여 현재 분산형 웹 관련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분산형 웹 생태계 구축에 따른 환경 변화를 전망하였으며, 국내 적용한 모델과 이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분산형 웹으로 나아가기 위한 국내 정부 지원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분산형 웹에서 KISA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국내 웹 관련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연구 과제까지 제시하였다.

5. 활용에 대한 건의
본 보고서는 분산 웹의 동향과 국내 기업이 분산형 웹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정부, KISA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및 관련 부처에서 분산형 웹 정책 수립 시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한다.

6.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 분산형 웹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여러기업에 의해 적극적으로 도입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서는 국내 기업들이 국제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제 1 장 분산형 웹 구조 연구 배경 및 목적 1
참고문헌 5
제 2 장 분산형 웹 동향 조사 6
제 1 절 분산형 웹 구조에서의 세부 작동 방식 및 특징 6
제 2 절 기존 웹(WWW)과 분산형 웹의 구조 비교 분석 9
제 3 절 분산형 웹 관련 글로벌 프로젝트 조사 19
참고문헌 73
제 3 장 분산형 웹 요구사항 분석 75
제 1 절 분산형 웹 생태계 구축에 따른 환경 변화 전망 75
제 2 절 분산형 웹의 국내 적용 모델 80
제 3 절 분산형 웹의 수요 예측 및 시사점 86
참고문헌 94
제 4 장 분산형 웹을 대비한 국내 대응 방안 수립 95
제 1 절 기존 웹에서의 KISA 역할 대비 분산형 웹에서의 KISA
역할의 차이점 도출 95
제 2 절 국내 웹 시장 및 개발자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
지원 방안 102
제 3 절 국내 웹 관련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 과제 검토 106
참고문헌 113

[나주본원]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대표번호 : 1433-25(수신자 요금 부담) [서울청사] (05717)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IT벤처타워 [해킹ㆍ스팸개인정보침해 118] Copyright(C) 2021 KISA. All rights reserved.
Now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