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2018년 온라인광고 이용자 인식조사 분석

담당부서
보안산업정책팀
전화
061-820-3215
이메일
등록일
2022-01-27
조회
2655

요약
목차
I. 조사 개요 4
   1. 조사의 배경 및 목적 4
   2. 조사 대상 4
   3. 표본 설계 4
   4. 조사 내용 5
   5. 광고유형 구분 및 정의 6
   6. 응답자 특성 7
   7. 전체 조사 결과 요약표 8

II. 매체 이용 행태 10
   1. 인터넷 이용 빈도 및 이용 시간 10
   2. 인터넷 접속 방법 12
   3. 주 이용 인터넷 서비스(1~3순위) 14

III. 온라인광고 이용행태 및 광고효과 16
   1. 매체별 광고 관심도(Top2%*) 16
   2. 매체별 광고 정보 이해 용이도(Top2%*) 18
   3. 매체별 광고 구매 영향도(Top2%*) 20
   4. 광고 최빈노출 인식 서비스(1~3순위) 22
   5. 온라인광고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5점 척도) 24
   6. 온라인광고 품질속성 관련 평가(Top2%*)  26
   7. 온라인광고 유형별 접촉경험 유무 28
   8. 온라인광고 유형별 클릭경험 유무 30
   9. 온라인광고 유형별 선호도 평가(Top2%*) 32
   10. 검색 광고 선호 이유 34
   11. 검색 광고 비선호 이유 36
   12. 배너 광고 선호 이유 38
   13. 배너 광고 비선호 이유 40
   14. 동영상 광고 선호 이유 42
   15. 동영상 광고 비선호 이유 44
   16. 바이럴 광고 선호 이유 46
   17. 바이럴 광고 비선호 이유 48
   18. PPL 광고 선호 이유 50
   19. PPL 광고 비선호 이유 52
   20. SNS 광고 선호 이유 54
   21. SNS 광고 비선호 이유 56
   22. 플로팅 광고 선호 이유 58
   23. 플로팅 광고 비선호 이유 60
   24. 맞춤형 광고 선호 이유 62
   25. 맞춤형 광고 비선호 이유 64
   26. 리워드앱 광고 선호 이유 66
   27. 리워드앱 광고 비선호 이유 68
   28. 가장 주목되는 온라인광고 유형 70
   29. 가장 정보습득 용이한 온라인광고 유형 72
   30. 가장 구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광고 유형 74
   31. 창작활동 기여 인지 여부 76
   32. 광고 유형별 불편한 수준(Top2%*) 78
   33. 콘텐츠 이용 시 광고 회피 80
   34. 광고 제거비용 지불의향 82
   35. 광고 차단프로그램 이용 84
   36. 온라인광고 개선 필요 분야(1~2순위) 86

IV. 동영상 이용 실태 및 광고효과 88
   1.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이용 빈도 88
   2.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이용 시간(분/하루) 90
   3. 주 이용 동영상 매체(1~2순위) 91
   4. 주 이용 동영상 장르(1~3순위) 93
   5. 동영상 이용 환경 95
   6. 동영상 광고의 제품/브랜드 선호 영향(5점 척도) 97
   7. 동영상 광고 유형별 접촉 여부 99
   8. 동영상 광고 유형별 선호도 평가(Top2%*) 101
   9. 동영상 광고 유형별 방해정도 평가(Top2%*) 103
   10. 동영상 광고 길이별 수용도(Top2%*) 105
   11. 동영상 광고 스킵(건너뛰기)기능 이용경험 107
   12. 동영상 광고 스킵(건너뛰기)이 불가능한 경우 행동 109
   13. 동영상 광고 전체 시청 경험 111
   14. 동영상 광고 전체 시청 이유 113
   15. 무료 시청을 위해 기다릴 수 있는 광고의 최대 길이(일반적인 동영상) 115
   16. 무료 시청을 위해 기다릴 수 있는 광고의 최대 길이(보고 싶은 동영상) 117
   17. 무료 시청을 위해 기다릴 수 있는 광고의 최대 길이(평균, 초) 119

V. 조사 결과 요약 121
   1. 매체 이용 행태 관련 121
   2. 온라인광고 이용 행태 관련 121
   3. 온라인광고 이용자 인식 관련 121
   4. 온라인 동영상 이용 행태 관련 122
   5. 온라인 동영상광고 이용자 인식 관련 123

VI. 결론 및 제언 124
   1. 광고전략(제작/미디어플랜) 수립을 위한 제언 124
   2. 온라인광고 정책 관련 반영 등을 위한 제언 127

[나주본원]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대표번호 : 1433-25(수신자 요금 부담) [서울청사] (05717)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IT벤처타워 [해킹ㆍ스팸개인정보침해 118] Copyright(C) 2021 KISA. All rights reserved.
Now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