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디지털 메가트렌드에 따른 정보보호의 역할 분석 연구 |
95 |
4월 |
| ■ 디지털 환경변화 및 메가트렌드와 관련한 정보보호의 역할을 심층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향후 정보보호 정책수립에 활용 |
| (2) |
정보보호 정책 체감도 측정모델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
80 |
4월 |
| ■ 정보보호 정책 추진 성과 분석, 국내외 정책평가 및 홍보효과 평가 모델 비교분석, 정책 체감도 측정 모델 개발, 정책 체감도 중심 국민 소통 방안, 설문조사 등 |
| (3) |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신기술 · 융합 보안정책 및 통합 보안전략 연구 |
95 |
4월 |
| ■ 사이버보안 패러다임의 변화, 국내외 디지털 전환 환경 및 정책 조사·분석, 해외 주요국의 정보보호 정책변화 조사 · 분석, 정보보호 기술정책 발굴, 통합 보안전략안 마련 등 |
| (4) |
사이버보안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국제기구 · 주요국 정책 동향 조사 |
40 |
4월 |
| ■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른 국제기구의 주요 정책 동향 조사, 주요 국제기구의 사이버보안 규범 동향 주요 국가별 사이버보안 정책 및 국제기구 활동 및 입장 조사, 한국의 사이버보안 국제협력 정책에 대한 시사점 도출 |
| (5) |
우리 원 사업의 사회적 기여도 지표도출 및 분석 연구 |
95 |
4월 |
| ■ 유사 연구, 사례 등 사회적 기여도 분석에 관한 기존연구 분석, 사업 | 95 분야별 우리 원 사업(정보보호 · 인터넷의 사회적 기여도 산출을 위한 모델 연구 |
| (6) |
정보보호 규제 영향분석 연구 |
50 |
4월 |
| ■ OECD 규제 영향분석 등 정부 규제 영향분석 관련 국내외 유사연구, 문헌 등 조사, 정보보호 규제 비용 · 편익 분석 등 정부 규제 영향분석 모델 개발 |
| (7) |
블록체인 기술의 실물경제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 연구 |
70 |
4월 |
| ■ 블록체인의 실물경제 도입을 위한 블록체인 활용 사례 및 관련 제도 연구 현황 검토·분석, 법·정책 제정·개선사항, 기술적 보완사항 등 연구 |
| (8) |
디지털 미래 사회를 위한 정보통신망법 전면 개편방안 연구 |
95 |
4월 |
| ■ 新 ICT 기술 · 서비스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 조사·분석, 법적이슈 발굴, 이를 반영한 정보통신망법, 전면개편 방안 연구 등 |
| (9) |
지역 디지털 안전망 강화방안 연구 |
95 |
7월 |
| ■ 지역 소재 중소기업 대상 간담회, 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정보보호 실태조사 및 정책 수요 조사·분석, 신규 정책 과제 발굴 등 지역 정보보호 역량 제고 방안 연구 |
| (10) |
MZ 세대 인터넷 이용 행태변화 분석 및 정책제언 연구 |
50 |
7월 |
| ■ MZ 세대 관련 연구 문헌분석, 인터넷 이용 행태, 보안 인식 관련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 문헌조사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