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KISA, 긴급구조용 지하철 실내 위치정보 데이터 개방

담당부서
ESG추진팀
전화
061-820-3415
이메일
등록일
2020-01-13
조회
7683

 

KISA, 긴급구조용 지하철 실내 위치정보 데이터 개방
- Wi-Fi AP 정보 활용한 위치기반 신서비스 개발 가능해져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김석환)과 방송통신위원회(KCC, 위원장 한상혁)는 위치정보 스타트업 확산 및 모바일 신서비스 창출을 위해 기존 긴급구조용으로 주로 활용되었던 위치정보 데이터(Wi-Fi AP 정보*)를 개방하고 활용 가이드를 배포했다고 2020. 1. 13.(월) 밝혔다.
   * Wi-Fi AP 정보는 Wi-Fi AP의 SSID, MAC 주소, AP 신호 세기(RSSI), Wi-Fi AP 수집 지점의 위경도(x,y) 값 등으로 구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견인하는 핵심자원인 빅데이터의 활용은 계속해서 중요해지고 있으며, 특히 위치정보는 재난예방·긴급구조·국민안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위치정보 활용에 필요한 측위 인프라 구축 비용 문제로, 그간 중소기업들은 위치기반서비스 분야 진출 및 신규 서비스 개발에 대한 애로사항을 호소해왔다.

 

  이에 KISA는 방송통신위원회와 함께 긴급구조 지원 목적으로 지난 2014년부터 4년간 구축했던 위치정보 데이터를 위치정보 스타트업 등 민간 기업이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게 됐다.

 

  해당 데이터는 전국 890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Wi-Fi AP 정보를 수집 및 정제한 데이터로, 약 22만개의 AP 정보를 통해 실내 지하철 역사에서 측위 및 위치확인이 가능하다.
    * 서울·경기권(628개소), 부산(129개소), 대전(22개소), 대구(91개소) 광주(22개소)로 총 890개 역사

 

  KISA는 데이터를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 데이터의 구조, 측위 성능 및 활용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위치정보 데이터(Wi-Fi AP 정보)의 활용 가이드’도 함께 제작하여 배포했다.

 

  위치정보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며, 활용 가이드는 KISA 대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공공데이터 포털) data.go.kr, (KISA 대표 홈페이지) kisa.or.kr (자료실>KISA Library>국내·외 위치정보산업 동향)

 

  KISA 김석환 원장은 “이번 위치정보 데이터 개방이 국내 위치정보 산업 확대·성장의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며, “그간 위치기반서비스 분야 진출을 원했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았던 중소·스타트업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주본원]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대표번호 : 1433-25(수신자 요금 부담) [서울청사] (05717)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IT벤처타워 [해킹ㆍ스팸개인정보침해 118] Copyright(C) 2021 KISA. All rights reserved.
Now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