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2023년 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공모

담당부서
보안산업진흥팀
전화
061-820-3238
이메일
등록일
2023-02-22
조회
44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3-0184호
 
2023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참가기업 모집 공모
 
정보보호 산업 AI 기술 활용이 본격화 되며, AI 보안 산업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AI 기반의 혁신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정보보호 제품을 국내 수요처와 협력하여 기업이 상용제품을 개발하고 사업화 할 수 있도록 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모집 공고하오니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232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한국인터넷진흥원장
 

사업 목적
 
o 국내 AI 보안 유망기업 성장 지원을 통한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 역량 강화 및 AI기반의 차세대 보안 산업 활성화 추진
 
- AI 기술을 활용한 보안 제품 및 서비스의 상용제품 개발·사업화 지원
 

사업 개요 
o 사업명 : 2023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o 사업기간 : 협약체결일 ~ 20231130(7개월) 
o 사업예산 : 17.5억원 (과제당 최대 3.5억 이내) 
o 지원대상 : AI 보안 상용 제품·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컨소시엄 가능)
1차 평가에서 최종 과제수의 2배수 이내 선정 2차 평가에서 최종 5개 과제 선발 
o 지원분야 : AI+정보보안, AI+물리보안 2가지 분야(중복 지원 불가)
 

[ 지원사업 기술 분야 ]

구분

설명 및 주요기술 예시

AI+정보보안

- PC 또는 네트워크상의 정보를 분실·도난·유출·위조·변조·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기술에 AI를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 AI의 오작동·부작용으로 인한 잠재적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제품·서비스
* 편견과 차별, 사생활 침해, 불투명하고 설명할 수 없는 결과 등

기술예시

· AI 머신러닝 기반 차세대 안티바이러스 백신
· 딥러닝 기반 R-CNN을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 딥러닝 모델 성능 저하 경감을 위한 적대적 공격 방어 기술
· 인공신경망 기반 디지털 사진 미세변형·이상 신호 흔적 탐지 기술
· AI 스피커 보안을 위한 음성신호 비식별화 암호화 시스템

AI+물리보안

- 대규모 재난, 각종 사고들에 대한 국민안전*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에 AI를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 일터안전, 도시·생활 안전, 재난 안전, 사회적 약자 보호 등
- 개인의 신변 안전 및 주요 시설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보안 기술*AI를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 개인 식별, 영상 감시, 바이오인식 등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

기술예시

· 유수, 강우, 담수, 지형 등에 따른 유역 관리 수치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AI 홍수 모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밀집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현장인파관리 시스템
·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경찰 등에서 운영하는 CCTV 모니터링 및 위험 감지·대응 등 치안현장 접목가능 시스템
· 지능형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검색시스템
· CNN 기반 얼굴인식 기능을 적용한 출입통제 물리보안 기술
· 단일 영상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피해자 위치 추정 기술
· AIIoT 센서를 이용한 시설물 재난안전 관리시스템

 
지원 대상

 o (대상) AI 보안 상용 제품·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하고자 하는 기업
 - 사업자 규모 제한 없음(중소, 중견 및 대기업 참여 가능)
- 과거(2021~22년도) 선정된 사업자는 동일(현저하게 유사)과제로 지원 불가
‘21AI 기반 보안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지원사업, ‘22AI 보안 시제품 개발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개발한 시제품의 고도화를 통한 상용화를 목표로 본 지원사업에 지원하는 경우 참여 가능
, 과거 선정된 사업자가 당시 지원했던 과제와 다른 과제로는 지원 가능(소명서 제출 필수)
- 비영리기관이 본 지원사업에 공모 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기관으로 공모 가능(단독 공모 및 주관기관 불가)
- 동일(현저하게 유사)과제로 KISA 및 유관기관의 다른 지원 과제에 지원을 받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제안 기업은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 5, 6단계인 기술만 지원 가능하며 기 상용화된 내용은 참여 불가
 
o (참여방법) 단독 또는 컨소시엄 형태
두 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는 경우에는 주관기관/참여기관으로 구분하고, 주관 및 참여기관은 1개 과제에만 지원 및 참여가능
 
지원 내용
o (제품·서비스 고도화) 제안된 과제의 제품·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사업화 컨설팅 및 추가 개발 시 필요한 기술 컨설팅 제공
- (기술 컨설팅) AI 보안 전문가 협의체 기반 개발진행 상황 분석 및 성능 고도화를 위한 AI, 보안 등 산··연 전문가의 기술컨설팅 제공
- (사업화 컨설팅) AI 보안 전문가 협의체 기반 기업진단 및 기업성장·사업화 단계 별 기업육성, 투자유치 전문가의 사업화 컨설팅 제공

o (서비스 확산) 개발 완료된 제품·서비스의 이용 확산을 위해 AI 관련 인증, 비즈니스 멘토링, 판로개척 및 제품 홍보 등 지원
- (AI 인증) 제안기업 중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한국인공지능협회 산업지능화(인공지능기업, 기술/제품)인증취득 지원
- (경제성 예측) 개발된 제품·서비스의 판로개척 및 투자유치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가치평가 수행
- (투자유치) 투자사(VC) 중심 전담 멘토단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점검, 투자유치 가이드 및 IR Deck 제작 지원
- (홍보) 유명 투자사, 산업 관계자 대상 홍보·IR을 위한 데모데이 개최 및 홍보리플렛, 전시월 등 홍보 콘텐츠 제작 지원
- (판로개척) 대기업·공공기관 등과 참여기업 간 구매상담 및 협력의 장 마련을 위한 구매상담회 및 네트워킹 데이 개최

o (해외진출 지원) 희망기업에는 해외 진출 및 정착을 위해 필요한 각 기업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 
 
지원 조건

o 정부지원금 상한액(과제별 최대 3.5억원) 이내에서 제안 가능
- 각 기업 규모에 따라, 총 사업비는 정부 지원금, 민간 부담금 매칭 펀드 비율에 따라 산정 필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 제2021-23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상의 ‘[별표 4] ’정부지원연구개발비 지원기준 및 기관부담연구개발비 기준’,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감염병 대응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지침에 따라 각 기업별 민간부담금 비율은 대기업 50%, 중견기업 30%, 중소기업 20% 이상 편성
각 기업 규모별 민간부담금의 현금 부담비율은 대기업 15%이상, 중견기업, 중소기업 10% 이상을 현금으로 부담

- 선정된 기관의 제안금액을 대상으로 원가산정 등을 통해 적정규모를 평가 후 최종 지원금을 확정
부가세는 지원금에 포함되지 않으며, 참여 기관에서 부담

o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 지원금을 받아 동일 또는 유사한 사업의 형태로 수행하는 경우 지원 신청할 수 없음

o 정부지원금은 사업 착수 시 70%를 지급하고, 중간평가 후 30%를 지급

 
온라인 사업설명 자료
 
o 온라인주소 : 카카오 TV, YouTube ‘KISA AI 보안 기업 육성채널
 
신청서 접수

o 접수기간 : 2023. 2. 22() ~ 2023. 3. 24() 14:00까지
 
o 접수마감일 : 2023. 3. 24(), 14:00까지 (제출기한(14:00) 이후 접수 불가)
 
o 신청서 및 제출자료 작성 : 소정 양식
(공모안내서 붙임자료 및 첨부파일 참조)

o 접수방법 : KISA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
(https://cont.kisa.or.kr)

 
o 문의처 : 사업관련(061-820-1357, 1666), 접수관련(061-820-1151)

[나주본원]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대표번호 : 1433-25(수신자 요금 부담) [서울청사] (05717)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IT벤처타워 [해킹ㆍ스팸개인정보침해 118] Copyright(C) 2021 KISA. All rights reserved.
Now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