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2024년 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확산 지원사업 공모

담당부서
보안산업진흥팀
전화
061-820-3238
이메일
등록일
2024-05-13
조회
25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4-0521호

2024년 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확산 지원사업 참가기업 모집 공모

 AI 보안 시장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경쟁력 있는 AI 보안 제품·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나 공공·민간시장에 레퍼런스를 쌓을 수 있는 실증기회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우수한 AI 보안 제품·서비스를 보유한 기업의 실증지원을 통해 실데이터 활용을 통한 제품·서비스 고도화 및 공공·민간 시장의 AI 기반 보안 신기술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확산 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모집 공고하오니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24년 5월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한국인터넷진흥원장

□ 사업 목적

 ○ 유망한 AI 보안 제품·서비스의 실증 지원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여 공공·민간 시장의 AI 보안 제품·서비스 확산 유도

□ 사업 개요

 ○ 사업명 : 2024년 AI 보안 제품 및 서비스 확산 지원사업

 ○ 사업기간 : 협약체결일 ~ 2024년 12월 20일(약 7개월)

 ○ 사업예산 : 총 4억원(총 2개 과제, 과제 당 최대 2억원 지원)

 ○ 신청분야

 ○ 지원방법 : 단독 또는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며, 2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는 경우에는 주관기관, 참여기관으로 구분
     ※ 컨소시엄 참여비율은 주관기업 60% 이상, 참여기업은 10% 이상으로 구성해야하며 최대 3개 기업까지 컨소시엄 구성 가능(주관 및 참여기관은 1개 과제에만 지원 가능)

□ 사업수행 세부내용

 ① AI 기반 실시간 유해사이트 분석 및 검증 기술 실증(병무청)

 ○ (성능 고도화) AI 기반 실시간 유해사이트 분석 및 탐지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내·외부 데이터 수집 및 AI 모델 학습

 ○ (커스터마이징) AI 기반 실시간 유해사이트 분석 및 탐지 기술을 수요기관 환경에 맞춤형으로 적용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 수요기관의 네트워크 구성, 운영 중인 보안솔루션 등을 고려하여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해야 함

 ○ (실증·기능개선) AI 기반 실시간 유해사이트 분석 및 탐지를 위해 실제 운영 중인 수요기관 환경에 해당 기능을 적용하고 피드백을 통한 기능 개선
     ※ 사업종료 후 실증 완료된 제품의 운영을 위한 계약 등은 수요기관과 별도로 추진


② AI 기반 암호화 트래픽 내 위협패킷 탐지 및 분류 기술 실증(쓰리에이로직스)

 ○ (AI 모델 고도화) AI 기반 암호화 트래픽 내 위협패킷 탐지 및 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암호화 트래픽, 악성 데이터셋 등 유형별 데이터 수집 및 학습

 ○ (커스터마이징) AI 기반 암호화 트래픽 내 위협패킷 탐지 및 분류 기술을 수요기업 네트워크 환경에 맞춤형으로 적용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징 

'
 ○ (실증·기능개선) 암호화된 트래픽 기반 공격 방지를 위해 실제 운영 중인 수요기업 환경에 해당 기능을 적용하고 피드백을 통한 기능 개선
     ※ 사업종료 후 실증 완료된 제품의 운영을 위한 계약 등은 수요기업과 별도로 추진

□ 지원 대상 

 ○ (대상) AI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유해사이트 분석·탐지 또는 암호화 트래픽 내 위협패킷 탐지·분류 기술을 보유하고, 이를 실증하고자 하는 기업
  - 사업자 규모 제한 없음(중소, 중견 및 대기업 참여 가능) 
  - 비영리기관이 본 지원사업에 공모 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기관으로 공모 가능(단독 공모 및 주관기관 불가)
  - 제안 기업은 기술성숙도 7단계 이상인 기술만 지원 가능
     ※ 선정 평가 시 평가위원회를 통해 기술성숙도 단계를 판단하며, 7단계 미만인 것으로 확인 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 가능

□ 지원 내용

 ○ (예산지원) 지원금 상한액(과제당 최대 2억원) 이내에서 제안 가능
  - 제안기업은 현금 또는 현물(인건비, 기자재 등)을 통해 총 사업비의 25% 이상 부담(중견·대기업의 경우 각각 30%, 50% 이상 부담)
     ※ 지원금으로 사업비 편성 시 본 지원사업의 공고문, 별첨 서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 제2023-49호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기준’ 등을 참고·준용하여 사업비 편성

 ○ (실증 환경 지원) 수요기관·기업의 인프라, 데이터 등 실증 환경 제공

 ○ (기업 역량강화) 실증할 제품·서비스의 고도화·최적화 및 기업성장(사업화, 마케팅 등), 투자유치를 위한 전문가 컨설팅 제공
     ※ 제안기업의 기업진단, 제품·서비스 기술 분석, 요구사항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적합한 전문가를 매칭할 예정이며, 기업 당 최소 3회 이상 지원 예정(변동 가능)

 ○ (확산 지원) 실증 완료된 제품·서비스의 이용 확산을 위해 인증 취득, 판로개척 및 제품·서비스 홍보 지원
  - (인증 지원) 제안기업의 제품·서비스에 대한 성능 평가와 우수성을  인증하기 위해 관련된 인증 취득 지원
     ※ 제안기업은 우수 정보보호 기술 지정, 신기술 및 융·복합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 조건·대상에 부합하는 경우 인증절차 신청을 권고함
  - (판로개척) 대기업·공공기관 등과 참여기업 간 구매상담 및 협력의 장 마련을 위한 구매상담회 및 네트워킹 데이 개최
  - (홍보 지원) 제안기업 우수 사례의 적극 홍보를 위한 성과 공유회, 데모데이 개최 및 홍보 리플렛 제작 등 대내외 제품·서비스 홍보 지원

□ 지원 조건

 ○ 정부지원금 상한액(최대 2억원) 이내에서 제안 가능
   - 각 기업 규모에 따라, 총 사업비는 정부 지원금, 민간 부담금 매칭 펀드 비율에 따라 산정 필요
     ※ 사업 관련 규정에 따라, 총 사업비 대비 민간부담금 최소 비율 이상을 현금·현물로 부담
     ※ 각 기업 규모별로 민간부담금 중 현금 부담 비율은 대기업 15%, 중견기업 13%, 중소기업 10% 이상 현금 부담
  - 선정된 기관의 제안금액을 대상으로 원가산정 등을 통해 적정규모를 평가 후 최종 지원금을 확정
     ※ 부가세는 지원금에 포함되지 않으며, 참여 기관에서 부담

 ○ KISA, 정부 및 타 기관으로부터 지원금을 받아 동일 또는 유사한 사업의 형태로 수행하는 경우 지원 신청할 수 없음
     ※ 선정 평가 시 평가위원회를 통해 중복여부를 판단하며, 중복 확인 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 가능

 ○ 정부지원금은 사업 착수 시 70%를 지급하고, 중간평가 후 30%를 지급

□ 신청서 접수
 
  ○ 접수기간 : 2024. 5. 13.(월) ~ 2024. 5. 31(금) 14:00까지

  ○ 접수마감일 : 2024. 5. 31(금), 14:00까지 (※ 제출기한(14:00) 이후 접수 불가)
     ※ 접수 마감시간 임박 시 원활하게 전자계약시스템에 접속되지 않을 수 있으니, 최소 마감시간 2시간 전에 신청 완료할 것을 권장함

  ○ 신청서 및 제출자료 작성 : 소정 양식(공모안내서 붙임자료 및 첨부파일 참조)

  ○ 접수방법 : KISA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
   - 온라인 접수 경로 : https://cont.kisa.or.kr - 위탁과제/지원 – 공고현황

  ○ 문의처 : 박경호 주임(061-820-1357)

[나주본원]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대표번호 : 1433-25(수신자 요금 부담) [서울청사] (05717)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IT벤처타워 [해킹ㆍ스팸개인정보침해 118] Copyright(C) 2021 KISA. All rights reserved.
Now Loading